네트워크 기초(개정판)27 06. 멀리 있는 컴퓨터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 라우팅 테이블 확인 실습 1. 라우팅 테이블 확인 하기 cmd -> netstat -r 명령어 * 사진 추가 설명 * -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네트워크 대역이랑 통신할때는 게이트웨이에 192.168.0.1로 통해서 가게 된다. - 특정 네트워크 대역을 연결하고 싶은데 라우팅 테이블에 없으면 통신이 불가능하다. 2021. 1. 26. 06. 멀리 있는 컴퓨터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 라우팅 테이블 및 전송 과정 1. 라우팅 테이블 어디로 보내야 하는지 설정되어 있는 라우팅 테이블 - 라우팅 테이블에 적혀있는 네트워크 대역만 찾아 갈수 있다. 적혀 있지 않는 네트워크 대역은 찾아갈수 없다. 쉽게 말하자면 지도 없이 목적지를 찾아 갈수 없는거랑 똑같다. 2.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 과정 내 컴퓨터에서 보낸 패킷이 다른 네트워크의 컴퓨터까지 어떻게 이동하는가 * 사진 설명 * - 총 4개의 네트워크 대역이 있다. - A의 컴퓨터와 B의 컴퓨터와 통신을 하고 싶을때의 경우의 그림이다. 1) 먼저 자기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한번 확인을 한다. 2) B의 네트워크 대역이 본인한테 있어야지만 통신을 할 수 있다. 3) A의 컴퓨터에서 ICMP 프로토콜과 IPv4와 Ethernet을 작성한다. 4) 이더넷 목적지 MAC 주소.. 2021. 1. 25. 06. 멀리 있는 컴퓨터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 IPv4, ICMP프로토콜 실습 1. ICMP 부터 확인 WireShark 실행 -> ping 8.8.8.8 -> Filter에 ICMP 입력 -> 캡쳐 중지 - 그런데 8Byte 이상으로 보인다. - 그 이유는 뒤에다가 쓸데없는 데이터까지 붙여서 보낸 상태이기 때문이다. 총 32Byte를 보내버렸다. => 결론은 앞에 8Byte만 ICMP 이다. 그리고 사진에서는 요청하는거기때문에 0 8 이다. 그리고 응답할때는 0 0 이고, 목적지를 못찾을 경우에는 0 3 이다. 2. IPv4 구조 확인하기 * 사진 설명 * Version : 4 Header Length : 20Byte / 4 = 5 Total Length - PayLoad : 32Byte - ICMP : 8Byte - Header : 20 Byte Flags : 조각화가 되었는지.. 2021. 1. 25. 06. 멀리 있는 컴퓨터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 ICMP 프로토콜 1. ICMP 프로토콜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 네트워크 컴퓨터 위에서 돌아가는 운영체제에서 오류 메시지를 전송 받는데 주로 쓰인다. - 프로토콜 구조의 Type과 Code를 통해 오류 메시지를 전송 받는다. 특정 대상과 내가 통신이 잘되는지 확인하는 ICMP 프로토콜 Type : 카테고리(대분류) - 0 : 응답 - 8 : 요청 - 3 : 목적지까지 가지를 못한 경우(가는 경로 상의 문제) - 대부분 라우터라던지 경로 설정 문제 - 11 : 목적지까지 갔는데 응답을 못 받은 경우(상대방의 문제) - 대부분 방화벽 문제 - 5 : ICMP redirect, 원격지에 있는 상대방의 라우팅 테이블을 수정을 할때(옛날 기술임).. 2021. 1. 25.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