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고급/실습20 13. NFS - 설정 네트워크 설정은 기본 1. vi /etc/exports 오픈(아무것도 없음) 2. 디렉토리 하나 생성 mkdir /share 3. /share 디렉토리로 이동 후 server_file 파일을 하나 생성 4. vi 편집기로 /etc/exports로 오픈 5. 설정이 다 끝난후 systemctl status nfs 로 재시작 6. 재시작 후 다시 상태 확인 7.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것이므로 방화벽 꺼두는것도 괜찮음(systemctl stop firewalld) 8. 클라이언트쪽으로 넘어가서 mount를 할 디렉토리 하나 생성 9. mount 192.168.10.100:/share /clinet [아이피] [디렉토리명] [마운트포인터] 10. 다시 클라이언트 디렉토리로 이동을 하면 사진과 동일하게 나옴. 11.. 2021. 1. 15. 12. 리눅스의 로그 - syslog를 이용한 원격 로그 서버 설정 100번 아이피를 사용하는 CentOs를 중앙 서버로 사용 할것이고, 200번 아이피에서 사용하는 로그를 100번 아이피 CentOS에 넘기는 것을 하는 것임. 100번 아이피 CentOs에서 vi /etc/rsyslog.conf로 편집 * 리눅스 시스템에는 윈도우 처럼 방화벽이 2가지가 있음(네트워크 방화벽, 로컬 방화벽) * * 네트워크 방화벽은 포트가 열려 있어도 따로 허용이 되어있지 않으면 접속 차단이 됨. * * systemctl stop firewalld 명령어로 방화벽을 잠시 끄기 * * 여기까지가 서버 셋팅 * * 클라이언트 셋팅 하기 * 동일하게 vi /etc/rsyslog.conf 파일 오픈 * 여기까지 하고 다시 서버 쪽으로 이동 * 서버 컴퓨터에서 tail -f /var/log/me.. 2021. 1. 13. 12. 리눅스의 로그 - syslog 설정 syslog 설정 설정 파일을 고치면 해당 된 서비스를 재시작 systemctl restart rsyslog.serivce 로그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명령어 tail -f 명령어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있음(새로운 터미널 열어서 하는 모든 행동들이 로그로 남겨짐) 2021. 1. 13. 12. 리눅스의 로그 - 다양한 로그 파일 확인 wtmp 라는 파일은 텍스트가 아닌 프로그램으로만 볼 수 있게 바이너리 형식, 실행 파일 처럼 만들어버림 cat 명령어로는 볼 수 없고, last라는 명령어로 볼 수 있다. 2021. 1. 13.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