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우팅 & 스위칭5

04.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 루핑 방지 기술 1. RIP의 문제점 RIP로 설정된 라우터에서 장애가 발생했을때 생기는 라우팅 루프 2. RIP의 해결책 정보를 받은 인터페이스로 정보를 전달하지 않는 Split Horizon 장애가 발생하면 메트릭 값을 16으로 설정 Route Posioning 일정시간 정보를 못받으면 삭제해버리는 Hold-Down Timer 네트워크에 변화가 생겼을 때만 광고를 보내는 Triggered Update 2021. 2. 11.
04.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 RIP 란? 1. RIP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터의 개수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RIP - RIP은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 - RIP은 v1과 v2가 있다.(일반적으로 v2를 사용) - Routing 정보 전송을 위해 UDP 포트 520번 사용 - AD 값은 120 - 설정이 간단 -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나 대형 네트워크의 말단 지점에서 사용하기 좋다. - 표준 Routing Protocol이기 때문에 모든 회사의 Router에서 사용 가능 (EIGRP 경우에는 Cisco 전용, 때문에 다른 회사의 Router에서는 사용 불가) - Metric을 Hop-count로 사용한다. (가장 적은 Hop-count를 가진 경로가 최적 경로) => 때문에 경로 결정시 Link의 속도를 .. 2021. 2. 11.
02. 3계층 장비 라우터 - 연결 케이블의 종류와 라우터의 여러가지 모드 1. 라우터란? - 라우터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케이블 UTP 케이블, FastEthernet Cable - 라우터와 PC, 라우터와 Swtich Serial Cable - 라우터와 라우터 - 여러가지 추가 설정도 설정이 가능 Console Cable - 노트북 또는 PC와 연결하기 위해 사용 2. 라우터의 접속 방법 노트북과 같은 장치와 연결하는 콘솔 케이블 - Router의 Console 포트에 Console cable을 연결하고 나머지 한쪽을 컴퓨터의 serial 포트(COM1 포트)에 연결 - 연결 후 터미널 프로그램(하이퍼 터미널, secure CRT)을 사용해서 접속 - console cable이 가장 일반적이고 편리한 방법. Router에 PC를 직접 연결해야 하고 console cable.. 2021. 2. 10.
02. 3계층 장비 라우터 - 라우터의 구성 이론 1. 라우터란? - 여러가지 기능을 가진 라우터의 역할 - 서로 다른 Network를 연결하고 Broadcasst Domain을 나눈다. - 경로결정 : packet이 목적지로 갈수 있는 경로를 확인하고 어느 경로가 가장 최적경로(Best Path)인지 결정 - Routing protocol에 따라 Routing table을 작성한다. 라우터의 구성 일체형으로 이미 모든 인터페이스가 구성된 단독형 라우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확장이 가능한 모듈형 라우터 - 일반적으로 LAN 선을 꼽는 곳은 FastEthernet Ports, 라우터끼리 연결하는 곳은 Serial Ports - Console Port에는 입출력 장치가 있는 PC나 노트북이랑 연결할때 사용 - Router는 성능, Interface의 숫자,.. 2021.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