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IP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터의 개수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RIP
- RIP은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
- RIP은 v1과 v2가 있다.(일반적으로 v2를 사용)
- Routing 정보 전송을 위해 UDP 포트 520번 사용
- AD 값은 120
<장점>
- 설정이 간단
-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나 대형 네트워크의 말단 지점에서 사용하기 좋다.
- 표준 Routing Protocol이기 때문에 모든 회사의 Router에서 사용 가능
(EIGRP 경우에는 Cisco 전용, 때문에 다른 회사의 Router에서는 사용 불가)
<단점>
- Metric을 Hop-count로 사용한다.
(가장 적은 Hop-count를 가진 경로가 최적 경로)
=> 때문에 경로 결정시 Link의 속도를 반영하지 못한다.
=> 복잡한 네트워크에서는 비효율적인 Routing 경로가 만들어질 수 있다.
- RIP의 최대 Hop-count가 15, 때문에 대형 네트워크에서는 사용이 불가능
(Hop-count가 16이면 도달 불가능한 네트워크로 간주)
- Routing 정보 전송 방식이 비효율적이다.
=> Topology에 변화와 상관없이 무조건 30초마다 인접 Router에게 Routing table 내용 전체를 전송한다.
(OSPF,EIGRP,BGP 등의 다른 Dynamic Routing Protocol은 Toplogy 변화가 생길 경우 바뀐 네트워크의 정보만 전송)
Convergence (수렴) Time
- Convergence : 네트워크에 변화가 생길 경우 모든 Router가 네트워크 변화 상태에 대해 정확하고 일관된 정보를 유지하는 것.
- Convergence Time : 네트워크에 변화가 생겼을 경우 그 변화된 정보를 서로 인식하고 수정하는 시간
=> Convergence Time은 각 Routing Protocol별로 다르다.
=> Convergence Time은 짧을 수록 좋다.
- RIP 같은 경우는 Convergence Time이 30초.
* RIP 같은 경우는 Convergence Time이 30초로 느리다. 때문에 Routing Loop 문제가 발생한다.
라우팅 정보 공유 방법 - RIP로 설정된 라우터끼리 라우팅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RIP
'라우팅 & 스위칭'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 루핑 방지 기술 (0) | 2021.02.11 |
---|---|
02. 3계층 장비 라우터 - 연결 케이블의 종류와 라우터의 여러가지 모드 (0) | 2021.02.10 |
02. 3계층 장비 라우터 - 라우터의 구성 이론 (0) | 2021.02.10 |
01. 계층별 장비와 케이블 - 이론 (0) | 2021.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