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우팅 & 스위칭

02. 3계층 장비 라우터 - 연결 케이블의 종류와 라우터의 여러가지 모드

by 움터 2021. 2. 10.

1. 라우터란? - 라우터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케이블

 

Serial Cable
Console Cable
UTP 케이블, FastEthernet Cable
- 라우터와 PC, 라우터와 Swtich
Serial Cable
- 라우터와 라우터
- 여러가지 추가 설정도 설정이 가능
Console Cable
- 노트북 또는 PC와 연결하기 위해 사용

 

 

 

2. 라우터의 접속 방법

노트북과 같은 장치와 연결하는 콘솔 케이블

- Router의 Console 포트에 Console cable을 연결하고 나머지 한쪽을 컴퓨터의 serial 포트(COM1 포트)에 연결

- 연결 후 터미널 프로그램(하이퍼 터미널, secure CRT)을 사용해서 접속

- console cable이 가장 일반적이고 편리한 방법. 

  Router에 PC를 직접 연결해야 하고 console cable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 telnet을 주로 사용

- 가장 안정적인 접근이 장점

 

 

원격으로 접속하는 Telnet 접속

Telnet 추가 설명 

- 원격으로 컴퓨터 또는 라우터를 접속해서 명령어로 컴퓨터를 제어하는 것

- 명령어를 송수신하기 위한 서버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Telnet Protocol

- 요즘은 Telnet은 사용 잘안하고 SSH라고 하는 암호화 통신한다.

- 대부분 Router를 관리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 Router의 IP주소를 알고 네트워크에 접속만 되어 있다면 장소와 상관없이 접속이 가능

- Router를 처음 구성할 경우 IP주소 설정이 안되어있기 때문에 Telnet사용이 불가능하고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질 경우 접속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 Telnet을 Virutal Terminal(가상 터미널)이라고 한다.

- 터미널 프로그램(하이퍼 터미널, secure CRT)을 사용해서 접속 MS-DOS에서도 'telnet x.x.x.x'로 접속이 가능

 

 

그 밖의 나머지 접속 방법

- AUX 포트, NMS(네트워크 관리 시스템)로 Router에 접속해서 설정할 수도 있다.

- TFTP 서버를 통해 다른 Router에서 만들어놓은 Router 설정 파일을 Router로 다운로드하는 방식이 있다.

 

 

3. 라우터의 여러 가지 모드

라우터의 많은 모드의 종류

 

1)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ROMMON Mode

- 평소에 사용하지 않는 모드

- Router 패스워드를 모를 경우와 IOS 이미지 파일에 이상이 생긴 경우, 복구를 하기 위한 모드

- RXBOOT 모드 혹은 ROMMON(ROM Monitor) 모드라고 한다.

- 부팅 시 Ctrl + Break 혹은 Register 값을 변경(0x2141)해서 들어갈 수 있다.

 

2) 설정 사항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Setup Mode

- NVRAM에 저장된 Router 설정 파일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실행되는 모드

- Router 설정에 관한 질문을 하고 User가 이 질문에 응답하면 응답한 내용으로 Router 설정이 되도록 하는 모드

 

3) 가장 기본적인 실행 모드 User Mode

- 일반 사용자 모드, 사용 가능 명령어가 몇 개 없다.

- enable 명령어를 통해서 Privileged Mode로 전환

- 사용 중인 Router에 Console 혹은 Telnet으로 접속하면 처음 보이는 화면

- 프롬프트가 기본적으로 'Router>'로 표시

- User mode에서는 Ping test 혹은 Trace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Router의 구성 파일을 보거나 수정할 수는 없다.

- 가장 기본적인 실행 모드, 관리자가 아닌 사용자 모드이기 때문에 사용자에 맞게 끔 명령어를 제한

=> 즉, user mode에서는 제한된 명령어를 사용해 간단한 확인 및 점검이 가능 하지만 설정은 할 수 없다.

 

4) 운영자 모드 Privileged Mode

- 운영자 모드, 설정 사항 확인, 내용 저장, 삭제

- 프롬프트 모양 '#'

- Configure terminal 명령어를 통해서 Global Configureation Mode로 전환

- user mode에서 'enable' 명령어를 사용하면 Privileged mode로 돌아온다.

(password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password를 입력해야 한다.)

- Privilege mode에서는 상세한 확인 및 점검이 가능하지만 설정은 할 수 없다. 설정이 가능한 Global Configureation Mode로 이동할 수 있다.

- 다시 user mode로 나오고 싶을 경우 'disable' 명령어를 사용

 

 

5) 설정 사항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Global Configuration Mode

- 일반적으로 라우터 설정할 때 사용하는 모드

- 프롬프트 모양 '(config)#'

- 'exit', 'end' 명령어나 Ctrl+z를 사용을 통해서 Privileged Mode로 전환

- Router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새로 설정할 경우 사용하는 모드

- User  mode에서는 바로 들어올 수 없고 Privileged mode에서 'configure terminal' 명령어를 입력하면 들어올 수 있다.

- Router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설정이 가능한 모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