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기초(개정판)

06. 멀리 있는 컴퓨터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 라우팅 테이블 및 전송 과정

by 움터 2021. 1. 25.

1. 라우팅 테이블

어디로 보내야 하는지 설정되어 있는 라우팅 테이블

 

netstat -r 명령어로 확인 가능하다.

- 라우팅 테이블에 적혀있는 네트워크 대역만 찾아 갈수 있다. 적혀 있지 않는 네트워크 대역은 찾아갈수 없다.

쉽게 말하자면 지도 없이 목적지를 찾아 갈수 없는거랑 똑같다.

 

기본 설정

 

2.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 과정

내 컴퓨터에서 보낸 패킷이 다른 네트워크의 컴퓨터까지 어떻게 이동하는가

* 사진 설명 *

- 총 4개의 네트워크 대역이 있다.

- A의 컴퓨터와 B의 컴퓨터와 통신을 하고 싶을때의 경우의 그림이다.

 

1) 먼저 자기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한번 확인을 한다.

 

2) B의 네트워크 대역이 본인한테 있어야지만 통신을 할 수 있다.

 

3) A의 컴퓨터에서 ICMP 프로토콜과 IPv4와 Ethernet을 작성한다.

ICMP 요청
IPv4 프로토콜

4) 이더넷 목적지 MAC 주소는 cc:cc:cc:cc:cc:cc 이다. 이더넷은 가까운곳에서 통신할수있는 것.

 

5) 패킷 전송

 

6) 다른 네트워크 대역으로 갈때가 매우 중요함.

먼저 2계층을 확인 후 자신이 맞다는 것을 확인 후 
3계층의 목적지 IP 주소가 자신이 아닌 것을 확인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 확인 후 
이더넷 프로토콜을 다시 만든다. 목적지 MAC주소와 출발지 MAC주소를 다시 작성한다.
3계층 장비이기 떄문에 3계층까지 다시 확인을 한다.
다시 라우팅 테이블 확인 후 
이더넷을 다시 설정

* 네트워크 대역이 바뀔때마다 이더넷이 바뀐다는 것을 알아두자. *

 

b가 나왔다.

 

b 컴퓨터와의 통신까지의 요청 완료.

7) A의 컴퓨터에서 요청이 왔음을 확인 

요청 인것을 확인 ( 0 8 )

8) 이제 응답하자.

응답 ( 0 0 )

9) A의 컴퓨터에서 응답 확인 까지 하는 과정이다.

 

 

만약, ping 명령어를 쳣을때의 경우에 이게 4번이 이루어진다라고 생각하면 되고, 이 그림들이 전부가 아니다.

이유는 MAC주소를 모르면 ARP를 하고 해야 하기때문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