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기초(개정판)

07. 컴퓨터의 프로그램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 4계층 이론

by 움터 2021. 1. 27.

1. 4계층 프로토콜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은 송신자의 프로세스수신자의 프로세스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 전송 계층은 연결 지향 데이터 스트림 지원, 신뢰성, 흐름 제어, 그리고 다중화와 같은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

- 전송 프로토콜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연결 지향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 (TCP)이다. 보다 단순한 전송에 사용되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UDP)도 있다.

 

* 프로세스란? 

- 메모리에서 동작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안전한 연결을 지향하는 TCP 프로토콜

 

안전한 연결을 지향하지 않는 UDP 프로토콜

 

 

2. 포트 번호(4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 특정 프로세스와 특정 프로세스가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

- 하나의 포트는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 가능

- 하나의 프로세스가 여러 개의 포트를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

- 포트 번호는 일반적으로 정해져 있지만 무조건 지켜야 하는 것은 아니다.

 

Ex) 일반적으로 웹 서비스는 80번 포트를 사용하지만 웹 서비스가 항상 80번 포트를 사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포트 번호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Well-Known 포트

 

조금은 유명한 Registered 포트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Dynamic 포트

 

3. 프로그램의 연결 정보

현재 포트 활성 여부를 나타내는 활성 연결 테이블

netstat -ano 명령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