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기초(개정판)27 10. NAT와 포트 포워딩 1. NAT란?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은 IP 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말한다. - 패킷에 변화가 생기기 떄문에 IP나 TCP/UDP의 체크섬(checksum)도 다시 계산되어 재기록해야 한다. - NAT를 이용하는 이유는 대개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함이다. - 하지만 꼭 사설 IP를 공인 IP로 변환 하는 데에만 사용하는 기술은 아니다. 실제 일반적인 네트워크의 모습 사설IP와 공인IP 2. 포트포워딩이란? - 포트 포원딩 또는 포트 맵핑(port mapping)은 패킷이 라우터나 방화벽.. 2021. 2. 1. 09. 연결지향형 TCP 프로토콜 - TCP 프로토콜 구조와 TCP의 플래그 1. TCP 프로토콜 -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 Control protocol, TCP)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간에 통신을 안정적으로, 순서대로, 에러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한다. - TCP의 안정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일반적으로 TCP 대신 비접속형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을 사용한다. - TCP는 UDP보다 안전하지만 느리다.(But TCP와 UDP와의 속도 차이를 느낄만큼 차이는 나지않는다. ) 2. TCP 프로토콜의 구조 * 사진 추가 설명 * - Sequence Number(4Byte) - Acknowledgment Number(4Byte) - TCP Options : 일반적으로 잘 안붙고,.. 2021. 1. 29. 08. 비연결지향형 UDP 프로토콜 - tftpd로 파일 전송 실습 1. 자신의 컴퓨터와 VMware 둘다 tftpd 설치 2. 왼쪽을 서버로 하고 가상머신에 있는 윈도우xp를 클라이언트로 실습을 할 것. (왼쪽을 서버 셋팅, 윈도우XP를 클라이언트로 셋팅) 3. 서버쪽에서 셋팅 할것. 4. 클라이언트 쪽 셋팅 * 사진 추가 설명 * Host : 서버 IP Port : 서버의 포트 넘버 Local File : VMware에 저장할 이름 설정이기때문에 뭐가 되든 상관없음 Remote File : 서버 쪽에서 생성한 파일의 이름이기때문에 서버에 있는 파일명 그대로 적어야한다. 5. Get 버튼 클릭 => Tftpd 프로그램은 UDP 프로토콜의 대표적 프로그램인데, 파일전송을 UDP를 하면 좋지않다. 그 이유는 중간에 데이터가 깨지고 할 수도 있기때문이다. 만약 큰 파일일 경.. 2021. 1. 27. 08. 비연결지향형 UDP 프로토콜 - 이론 1. UDP 프로토콜 -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은 유니버설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niversal Datagram Protocol)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 UDP의 전송 방식은 너무 단순해서 서비스의 신뢰성이 낮고, 데이터그램 도착 순서가 바뀌거나, 중복되거나, 심지어는 통보 없이 누락시키기도 한다. - UDP는 일반적으로 오류의 검사와 수정이 필요 없는 프로그램에서 수행할것으로 가정한다. UDP 프로토콜의 구조 - Length는 UDP 프로토콜 헤더 길이 + PayLoad 를 의미. 2.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프로그램 도메인을 물으면 IP를 알려주는 DNS 서버 UDP로 파일을 공유하는 tftp 서버 라우팅 정보를 공유하는 RIP 프로토콜 2021. 1. 27.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