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설정은 기본
1. vi /etc/exports 오픈(아무것도 없음)
2. 디렉토리 하나 생성 mkdir /share
3. /share 디렉토리로 이동 후 server_file 파일을 하나 생성
4. vi 편집기로 /etc/exports로 오픈
5. 설정이 다 끝난후 systemctl status nfs 로 재시작
6. 재시작 후 다시 상태 확인
7.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것이므로 방화벽 꺼두는것도 괜찮음(systemctl stop firewalld)
8. 클라이언트쪽으로 넘어가서 mount를 할 디렉토리 하나 생성
9. mount 192.168.10.100:/share /clinet
[아이피] [디렉토리명] [마운트포인터]
10. 다시 클라이언트 디렉토리로 이동을 하면 사진과 동일하게 나옴.
11. 하지만 수정 및 쓰기가 안된다.
12. 이유는 서버 쪽의 권한이 사진처럼 되어있기 때문이다.
13. 만약 서버에서 권한을 777로 줘도 똑같다.
14. 클라이언트에서 파일 생성을 해도 소유자랑 관리그룹이 nfsnobody이며, 서버 입장에서는 클라이언트에서 접속을 할때 nfsnobody로 인식이 되기 때문에 읽고 쓰기가 안됨.
'리눅스 고급 >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리눅스의 로그 - syslog를 이용한 원격 로그 서버 설정 (0) | 2021.01.13 |
---|---|
12. 리눅스의 로그 - syslog 설정 (0) | 2021.01.13 |
12. 리눅스의 로그 - 다양한 로그 파일 확인 (0) | 2021.01.13 |
11. 소프트웨어 패키지 관리 - yum을 이용한 패키지 관리 (0) | 2021.01.12 |
11. 소프트웨어 패키지 관리 - 소스코드를 이용한 패키지 설치 (0) | 2021.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