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 if=[입력장치(백업할 장치)] of=[출력장치(백업 저장 위치)]
블록, 카운트 지정 안하면 디스크 전체를 백업(시간 많이 걸리고, 비효율적)
dd 백업 실습
1. 백업할 장치 사용 중지(umount /3gb)
2. 백업 수행 (dd if=/dev/sdg of=/backup/3gb.bak)
3. fdisk /dev/sdg 명령어로 sdg 디스크의 파티션 모두 삭제 후 저장
4. mount /dev/sdg1 /3dg 정상적으로 마운트 불가능
dd 복구 실습
1. 복구 수행 (dd if =/backup/3gb.bak of =/dev/sdg)
2. fdisk =dev/sdg 명령어로 파티션 정보가 다시 생긴 것 확인
3. mount /dev/sdg1 /3gb 정상적으로 마운트 가능
그 후에 새롭게 다시 추가한 가상 머신을 실행 시키면 dd 명령어로 백업 했던 작업이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리눅스 고급 >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소프트웨어 패키지 관리 - rpm을 이용한 패키지 관리 (0) | 2021.01.12 |
---|---|
10. 네트워크 설정 - 실습 (0) | 2021.01.11 |
9. 백업 및 복구 - dump 명령어를 이용한 백업 및 복구 (0) | 2021.01.08 |
9. 백업 및 복구 - tar명령어를 이용한 백업 및 복구 실습 (0) | 2021.01.08 |
8. 작업 스케줄링 - 작업 스케줄링 접근 제어 실습 (0) | 2020.1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