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고급/실습

9. 백업 및 복구 - dd 명령어를 이용한 디스크 복사

by 움터 2021. 1. 8.

dd if=[입력장치(백업할 장치)] of=[출력장치(백업 저장 위치)]

블록, 카운트 지정 안하면 디스크 전체를 백업(시간 많이 걸리고, 비효율적)

 

dd 백업 실습

1. 백업할 장치 사용 중지(umount /3gb)

2. 백업 수행 (dd if=/dev/sdg of=/backup/3gb.bak)

3. fdisk /dev/sdg 명령어로 sdg 디스크의 파티션 모두 삭제 후 저장

4. mount /dev/sdg1 /3dg 정상적으로 마운트 불가능

 

dd 복구 실습

1. 복구 수행 (dd if =/backup/3gb.bak of =/dev/sdg)

2. fdisk =dev/sdg 명령어로 파티션 정보가 다시 생긴 것 확인

3. mount /dev/sdg1 /3gb 정상적으로 마운트 가능

 

 

 

기본 디스크에 새로 생성한 디스크에 전체 백업을 하기.
sda라는 디스크에서 sdb라는 디스크로 복사 중인 상태

 

fdisk -l로 확인해보면 파티션 정보까지도 복사가 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Hard Disk 2를 remove 하고 새로운 가상머신을 다시 설치(Hard Disk2에 설치된 Disk File을 확인하고 해야함 사진에서는 CentOS 7 64-bit-21.vmdk임. )

 

여기서 두 번째거를 선택 해서 Next 클릭 후 
remove 했던 가상 머신 디스크 CentOS 7 64-bit-21.vmdk를 클릭 후 생성 후 next 후 finish

그 후에 새롭게 다시 추가한 가상 머신을 실행 시키면 dd 명령어로 백업 했던 작업이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