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3계층 장비 라우터 - 라우터의 구성 이론
1. 라우터란? - 여러가지 기능을 가진 라우터의 역할
- 서로 다른 Network를 연결하고 Broadcasst Domain을 나눈다.
- 경로결정 : packet이 목적지로 갈수 있는 경로를 확인하고 어느 경로가 가장 최적경로(Best Path)인지 결정
- Routing protocol에 따라 Routing table을 작성한다.
라우터의 구성
일체형으로 이미 모든 인터페이스가 구성된 단독형 라우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확장이 가능한 모듈형 라우터
- 일반적으로 LAN 선을 꼽는 곳은 FastEthernet Ports, 라우터끼리 연결하는 곳은 Serial Ports
- Console Port에는 입출력 장치가 있는 PC나 노트북이랑 연결할때 사용
- Router는 성능, Interface의 숫자, 지원하는 기능, 메이커에 따라 가격이 다르다.
- 모듈형에서 Interface는 따로 구입해야 한다.
- Router에서 사용되는 Software를 IOS(Internetworking Operating System)라고 한다.
- 즉, Router의 운영체제이다.(ex. PC의 Window)
컴퓨터와 비슷한 내부 구성
1) RAM
- IOS가 올라와서 실행되고, Routing table과 구성파일(설정내용)이 올라와서 동작하는 장소
- 그 외에도 ARP cache나 fast witching에 대한 cache 등을 가지고 있다.
- 휘발성 메모리이기 때문에 전원을 차단하면 모든 정보가 지워진다.
2) NVRAM(Non Volatile RAM)
- 전원을 차단해도 저장된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 휘발성 메모리
- 설정파일(설정내용)을 저장한다. Routing table은 저장하지 않는다.
- RAM에 올라가 있는 설정내용은 Running-config(전원을 차단 시 삭제)
- NVRAM에 저장된 설정내용은 Startup-config(전원을 차단해도 저장)
3) Flash 메모리
- 전원을 차단해도 저장된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다.
- 주로 IOS 이미지 파일 저장용으로 사용된다. NVRAM보다 메모리 용량이 크다.(NVRAM은 설정파일만 저장)
- Router에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면 Router 자체를 교환하는 것이 아니라 IOS를 업그레이드 하면 된다.
4) ROM
- Router의 가장 기본적인 내용 저장
- 전원이 들어올 경우 어떤 순서로 Router 자신의 상태를 점검하고 IOS를 어디서 RAM으로 올리는지 등(=운영체제를 실행시킨다.)의 내용이 저장되어있다.(bootstrap)
- 복구용 Mini IOS가 저장되어 있다.
5) 라우터의 요약
- 전체적으로 PC와 비슷한 구성
- Router에서 작업은 모두 RAM 위에서 동작한다.
- ROM에는 Router의 기본정보와 Mini IOS, NVRAM에는 설정파일
- Flash에는 IOS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
- RAM과 Flash는 필요에 따라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라우터의 부팅과정
1) Power on self test (=POST)
2) Load and run bootstarp code
3) Find the IOS software
4) Load the IOS software
5) Find the configuration
6) Load the configuration
7) Run